말하기처럼 쉬운 것이 없지만 말하기처럼 어려운 것도 없습니다. 말 못하는 사람은 없지만 말을 조리 있고 설득력 있게 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 어려운 일입니다. 특히 학생들에게 스피치는 학과 성적이나 학교생활에 직접적으로 연관을 미치기 때문에 저학년부터 고학년 자녀들을 둔 부모님들께서는 반드시 자녀의 스피치 능력에 관심을 기울여 주셔야 합니다. 영어로 말할 수 있다고 해서 무조건 굿 스피커(good speaker)라고는 장담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타고난 재능도 무시할 수 없는 스피치를 조금이라도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한 메모를 준비할 것
연 습할 땐 잘 했는데 사람들 앞에만 서면 머릿속에 하얗게 되면서 준비한 모든 것을 완전히 까먹게 된다고 털어놓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이런 심리적인 공포를 줄이기 위해서는 든든한 ‘백업’(back up)을 준비하면 훨씬 더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게 됩니다. 말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다 적어 갈 순 없겠지만 이럴 땐 말할 요점만을 적은 메모를 들고 단상에 서면 훨씬 더 말하기가 쉬워집니다.
▲미리 준비한 원고 암기도 방법
도저히 떨려서 제대로 말할 자신이 없으면 원고를 쓴 다음 토씨하나 틀리지 않게 무조건 외우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때 길이를 맞춰 쓰는 것이 중요하고, 자꾸 읽어서 완전히 암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 원고를 암기해 말할 때는 자칫 책을 읽는 것처럼 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
▲원고를 읽고 또 읽기
준비해 놓은 원고를 반복해 읽는 것처럼 좋은 말하기 연습은 없습니다. 자꾸 읽다보면 자신의 성량이, 혹은 내용에 어떤 문제점이 읽는지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말이 자꾸 꼬이는 부분은 없는지, 문장이 너무 긴 것은 아닌지 등을 체크하면서 원고를 고치면서 읽다보면 쉬우면서도 명료한 말하기의 기초를 만들 수 있습니다.
▲스피치를 위한 팁
①미리 준비한 발표 원고가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됐나 확인한다.
②명료하면서도 또렷하게 말하기는 필수. 그렇다고 소리를 지를 필요는 없다. 청중수에 맞게 성량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다.
③긴장하면 말이 빨라지게 돼 있다. 따라서 의식적으로 마음을 편안하게 하면서 천천히 말하기를 연습해야 한다.
④글도 그렇지만 말하기에 있어서도 쉼표가 가장 중요하다. 말의 단락단락, 혹은 소재가 바뀌는 부분에선 적당히 말을 쉬어줘야 정확하게 의사전달이 될 뿐더러 청중들의 반응도 살필 수 있다.
⑤청중들과 눈맞추기를 잊지 말기. 이런 아이 컨택(eye contact)은 청중들과 화자간의 신뢰를 끌어올리고 친밀감을 돈독하게 만든다.
⑥ 사실 말하기 위해 단상에 올라가면 손이 가장 큰 문제다. 도대체 이 양 손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몰라서 전전긍긍하는 경우는 비단 학생들뿐 아니다. 그렇다고 양손을 주머니에 찔러 넣는 것은 금물. 대신 말하는 중간중간 제스처로 활용하면 강렬한 인상과 효과적인 발표가 가능하다.
⑦말을 하면서 남을 흉내내기보다는 자신의 긍정적인 면과 좋은 성격을 최대한 부각시키는 것이 더 강렬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간단한 메모를 준비할 것
연 습할 땐 잘 했는데 사람들 앞에만 서면 머릿속에 하얗게 되면서 준비한 모든 것을 완전히 까먹게 된다고 털어놓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이런 심리적인 공포를 줄이기 위해서는 든든한 ‘백업’(back up)을 준비하면 훨씬 더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게 됩니다. 말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다 적어 갈 순 없겠지만 이럴 땐 말할 요점만을 적은 메모를 들고 단상에 서면 훨씬 더 말하기가 쉬워집니다.
▲미리 준비한 원고 암기도 방법
도저히 떨려서 제대로 말할 자신이 없으면 원고를 쓴 다음 토씨하나 틀리지 않게 무조건 외우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때 길이를 맞춰 쓰는 것이 중요하고, 자꾸 읽어서 완전히 암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 원고를 암기해 말할 때는 자칫 책을 읽는 것처럼 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
▲원고를 읽고 또 읽기
준비해 놓은 원고를 반복해 읽는 것처럼 좋은 말하기 연습은 없습니다. 자꾸 읽다보면 자신의 성량이, 혹은 내용에 어떤 문제점이 읽는지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말이 자꾸 꼬이는 부분은 없는지, 문장이 너무 긴 것은 아닌지 등을 체크하면서 원고를 고치면서 읽다보면 쉬우면서도 명료한 말하기의 기초를 만들 수 있습니다.
▲스피치를 위한 팁
①미리 준비한 발표 원고가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됐나 확인한다.
②명료하면서도 또렷하게 말하기는 필수. 그렇다고 소리를 지를 필요는 없다. 청중수에 맞게 성량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다.
③긴장하면 말이 빨라지게 돼 있다. 따라서 의식적으로 마음을 편안하게 하면서 천천히 말하기를 연습해야 한다.
④글도 그렇지만 말하기에 있어서도 쉼표가 가장 중요하다. 말의 단락단락, 혹은 소재가 바뀌는 부분에선 적당히 말을 쉬어줘야 정확하게 의사전달이 될 뿐더러 청중들의 반응도 살필 수 있다.
⑤청중들과 눈맞추기를 잊지 말기. 이런 아이 컨택(eye contact)은 청중들과 화자간의 신뢰를 끌어올리고 친밀감을 돈독하게 만든다.
⑥ 사실 말하기 위해 단상에 올라가면 손이 가장 큰 문제다. 도대체 이 양 손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몰라서 전전긍긍하는 경우는 비단 학생들뿐 아니다. 그렇다고 양손을 주머니에 찔러 넣는 것은 금물. 대신 말하는 중간중간 제스처로 활용하면 강렬한 인상과 효과적인 발표가 가능하다.
⑦말을 하면서 남을 흉내내기보다는 자신의 긍정적인 면과 좋은 성격을 최대한 부각시키는 것이 더 강렬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미국에서의 교육 > 영어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입학 에세이 잘쓰는 요령 (0) | 2008.12.23 |
---|---|
웅변·발표력 키우기 3 (0) | 2008.12.23 |
웅변·발표력 키우기 1 (0) | 2008.12.23 |
글쓰기의 과정 2 (0) | 2008.12.23 |
글쓰기의 과정 (0) | 2008.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