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학생들은 줄거리를 요약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는 반면 이론을 공식화 하거나 줄거리를 비평하라면 얼고 맙니다. 다른 학생들은 특별한 주제에 관한 자신들의 느낌을 설명하는 것은 좋아하지만, 자신들의 주장을 자료와 함께 뒷받침하는 것은 힘들어 합니다. 글 쓰는 작업에서 증명해야하는 생각의 본질을 구별하는 방법을 배운다면 글 쓰는 노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중할 수 있을 것입니다.
Taxonomy는 하나의 분류체계입니다. 1956년 출간된 “Bloom's Taxonomy" 에서는 배울 수 있는 세 가지의 일반 분야를 설명하고 각 분야에서 권하는 특정한 학습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대학 라이팅은 대부분 인지적 영역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인지적 영역은 주로 인간의 정신적, 지적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교육목적입니다. 인지적 영역에서는 여섯 종류의 다른 생각들이 가장 낮은(1)에서 가장 높은(6)으로 등급 되어 있습니다.
1. Knowledge(지식): 이전에 배운 내용을 상기합니다.
지식의 주요 단어들: define(규정짓다), list(목록하다), repeat(반복하다), identify (확인하다), name (지명하다)
2. Comprehension(이해력): 취지를 이해하고 다시 전합니다.
이해력의 주요 단어들: describe(묘사하다), summarize(요약하다), explain(해석하
다), provide examples(예를 준비하다), classify(분류하다), estimate(예측하다),
paraphrase(말을 바꿔서 설명하다)
3. Application(응용력): 추상적인 내용들을 구체적인 소재로 적용합니다.
응용력 주요 단어들: prove(입증하다), demonstrate(증명하다), calculate(산정하
다), predict(예언하다), solve(해결하다), develop(조성하다), apply(적용하다)
4. Analysis(분석력): 형식을 알아보기 위해 문제점을 분석합니다.
분석력의 주요 단어들: analyze(분석하다), categorize(구분하다), rank(평가하다),
correlate(서로 관련하다), distinguish(구별하다), infer(추리하다), delimit(범위를
정하다), examine(검사하다)
5. Synthesis(종합력): 부분을 결합해서 새로운 완전체를 형성합니다.
종합력의 주요 단어들: characterize(규정하다), formulate(공식화하다), integrate
(통합하다), reconstruct(재구성하다), modify(수정하다), conceptualize(개념화하
다), theorize(이론화하다)
6. Evaluation(비판력): 자료의 가치에 관해 정보에 근거한 결정을 내립니다.
비판력의 주요 단어들: justify(정당화다다), support(지지하다), choose(선택하
다), critiques(비평하다), defend(방어하다), challenge(도전하다), conclude(결정을
내리다)
6등급의 인지적 영역이 있다고 해서 글을 쓸 때마다 그 표준에 맞추어서 쓸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낮은 등급이 덜 중요한 것도 아닙니다. 교육은 모든 6등급에서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든 6등급은 중요 합니다.
학생들은 높은 등급의 인지적 영역을 완성하기 전에 낮은 등급을 하나씩 배워나가야 합니다. 예를 들면 5단계의 종합력을 사용하기 전에 4단계의 분석력을 이용해서 문제의 구성요소를 분석해야 합니다. 그리고 문제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기 전에 3단계의 응용력을 이용해서 어떤 기능들이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자연학 학생들은 일찍부터 외우는 연습을 많이 하다 보니 지식이나, 이해력, 응용법과 같은 하 등급의 인지적 영역이 발달되어 있는 경향이 많습니다. 이 학생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나타내는 것을 잘못된 일이라고 믿기 때문에 상 등급의 분석력이나 종합력, 비판력 등을 격려해 주어야 합니다.
반면 대부분의 사회학 학생들은 비판력 사용을 즐겨하며 하 등급의 학식이나 이해력, 응용력, 분석력 등을 건너뛰곤 합니다. 예를 들면 햄릿과 맥베스만 읽은 학생이 이해력 부족으로 셰익스피어의 문학 사회를 성급히 결론내리거나, 분석력 부족으로 작가가 사용하는 기법을 파악하지 못하는 일들을 말합니다.
'미국에서의 교육 > 영어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글을 쓰기 습관들 (0) | 2008.12.23 |
---|---|
글쓰기 훈련 어떻게 할까 (0) | 2008.12.23 |
칼리지보드가 제시하고 있는 평가기준 (0) | 2008.12.23 |
SAT 에세이 작성을 위한 팁 2 (0) | 2008.12.23 |
SAT 에세이 작성을 위한 팁 (0) | 2008.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