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오래된 광고 카피처럼 ‘옷입기도 전략’일진대 하물며 책을 읽거나 글을 쓸때 적절한 전략을 세우지 못한다면 책을 쓴 저자의, 글을 쓸 학생의 의도를 100% 이해하고 이해시킬 수 없습니다.
학생들이 책을 읽기전, 글을 쓰기전 꼭 숙지해야 할 몇가지 사항들을 책읽기 전략과 작문 전략으로 나눠 2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책읽기 전략은 이렇게
1)책 겉표지에서 마지막장까지 활자로 된 모든 것을 읽어라
책 제목은 물론이고 저자 소개, 서문, 저자후기 등 책 본문과 상관없어 보이는 내용들도 꼼꼼히 읽어두는게 좋습니다. 저자의 학력, 경력 등과 같은 것은 저자가 책을 통해 하고 싶은 내용과 밀접히 연결돼 있어 내용을 한층 더 깊이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뿐 아니라 남들보다 더 창조적인 독후감을 쓰는데도 영향을 줍니다.
2)책읽기전 장르파악을 분명히 해둬라
책 구입전, 혹은 책 읽기전 이 책의 장르가 기사인지 혹은 소설, 논설문 인지 자녀들에게 먼저 물어보거나 확인시킨다음에 책을 읽게 하십시요. 또한 자녀들에게 저자의 입장이 돼 책을 읽기전 제목과 책 서문을 통해 이 책을 쓰게 된 동기와 저자가 이 책을 읽을 대상독자를 누구로 정했는지도 한번 물어보십시요. 예를 들면 같은 현대정치를 다룬 책이라 할지라도 저자가 일반 대중들을 독자로 간주하고 책을 썼는지 정치, 경제, 사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책을 썼는지에 따라 내용이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읽기전 이점을 충분히 고려한 다음 독서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3)저자의 입장이 돼 보라
저자의 입장이 돼보는 것은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쓸때 가장 많은 수확을 많이 거둘 수 있는 분석 방법입니다. 자녀들에게 책을 읽은 후 저자가 어떤 사람일 것 같은지 한번 물어보십시요. 또한 저자가 이 책을 쓰기위해서 어떻게 사전취재를 하고 정보를 모았을 것 같은지 한번 상상하게 해보는 것도 책을 분석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4)독서 계획표를 만들라
독서를 유난히 즐기는 학생들을 제외하고 책 읽기 습관을 들여주기위해서는 매일매일 일정량의 책을 읽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자녀의 독서 패턴을 파악한뒤 대략 일정량의 책을 읽는데 어느정도의 시간이 걸리는지를 파악한 뒤 독서 플랜을 만들어 주십시요. 물론 같은 분량이라 할지라도 책의 난이도와 수준에 따라 독서 시간이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합니다.
5)책을 읽으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낀점 등을 기록하라
책을 읽으면서 모르는 단어가 나오거나 어떤 단락이나 문장의 뜻이 명확히 이해되지 않을때는 반드시 책 옆에든, 별도의 노트에든 이를 기록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그리고 책을 읽은 뒤 사전을 찾거나 친구들 혹은 부모님과 토론을 통해 해답을 찾다보면 자녀들은 저절로 책을 분석하는 능력을 배우게 됩니다.
6)'책 친구’를 만들어라
책을 읽을때 같은 책을 읽을 ‘책 친구’를 만들면 좋습니다. 이렇게 책 친구가 생기면 독서를 끝낼 날짜를 함께 정하고 자신이 책을 읽고 느낀 점 등을 함께 토론할 수 있게돼 자연스레 독서에 흥미를 갖게됩니다. 이때 친구와 의견교환은 학교 클래스에서 이뤄질 수도 있고 전자메일을 통해서 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7)독서 지도 교사를 지정하라
독서후 친구들과 의견을 교환하는 것만으로는 학생이 제대로 책을 읽고 소화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자녀에게 좋은 독서 교사를 선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는 부모님이 될 수도 있고 전문 교사가 될 수도 있습니다.
독서 교사와는 정기적으로 책을 읽은 후 질문사항과 느낌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때 작은 소그룹으로 서로의 의견을 토론하는 것도 머릿속의 생각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게 합니다.
8)작가가 놓친 부분이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읽어라
책을 자세히 읽다보면 작가가 의도했던 의도하지 않았던 논리적 비약이 보이거나, 논리전개의 결함 또는 의식적으로 기술하지 않은 부분이 눈에 띄기도 합니다. 이런 부분을 찾는다는 생각으로 의식적인 글읽기를 하다보면 비판적인 독서능력을 키워 학교 리포트 작성은 물론이고 SAT 에세이 작성시에도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9)만약 학교 리포트나 시험에 나올 질문을 미리 알고 책을 읽는다면 독서내내 질문을 상기하며 책을 읽어라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다는 생각으로 독서를 하다보면 읽으면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할 수 있을뿐더러 자신의 의견을 뒷받침할 근거를 책에서 찾는 훈련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미국에서의 교육 > 영어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lifornia Language Arts Standards (0) | 2008.12.23 |
---|---|
자신의 생각 표현하기, 라이팅의 첫걸음 (0) | 2008.12.23 |
학년별 리딩과 라이팅 체크 리스트 (0) | 2008.12.23 |
글쓰기 전략 (0) | 2008.12.23 |
자녀들의 독서지도 가이드 (0) | 2008.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