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하는 아이를 위한 훈계법 거짓말하는 아이를 위한 훈계법 “선생님, 우리 아이는 있지도 않았던 일을 있었다고 이야기를 지어내는 버릇이 있어요.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아이가 몇 살인가요?” “6살인데요.” 어느 날 한 어머니로부터 상담 전화가 왔습니다. 여섯 살인 자녀가 자주 거짓말을 하는데 어떻게 지도해야 .. 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2008.12.23
기질과 자녀교육 I. 기질에 대한 이해 인격을 후천적인 것이라고 하면 기질은 선천적인 것으로 태어날 때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다. 1. 다혈질의 자녀(Sanguine) 이것은 외향성의 기질로 쾌활하고 낙천적이다. 열성적이고 활기차고 헌신적이기도 하여 사람들로부터 사랑과 관심을 끌기도 하나 반면에 거칠게 행동하거나 쉽.. 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2008.12.23
내가 원하는 다섯가지 존 맥스웰은 「관계의 기술」에서 내가 다른 사람에게 원하는 다섯가지는, 다른 사람들이 나를 격려해주기를, 인정해주기를, 용서해주기를, 귀 기울여 주기를, 이해해 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내가 원하는 다섯가지는 바로 다른 사람들이 내게도 동일하게 원하는 것들이 아니겠는가. 우리의 성공과 성.. 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2008.12.23
반항하는 아이를 위한 지침서 반항이란? 순종하지 않는 것 - 반항하는 아이를 위한 지침서 ① 부모로서 나의 태도는 합당하며 온유한지 돌이켜보십시오. *참을성을 가지고 정직하게 자녀가 묻는 질문에 대답해준다. *될 수 있는 대로 자녀가 어른으로부터 독립적이 되도록 격려한다. *자녀가 자기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도.. 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2008.12.23
농부의 심정으로... 지난 봄 일이다. 동네 길모퉁이 한적한 땅이 제법 그럴싸한 밭으로 변해 있었다. 이름 모를 농부가 일군 개가였으리라. 한쪽에는 쓰레기 더미처럼 못쓰는 물건들이 나둥그러져 있는 척박한 땅. 그 곳에는 정성스럽게 이랑이 만들어지고 씨앗과 묘목들이 심겨졌다. 그런데 어느날 이상한 글판 하나가 .. 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2008.12.23
훈계, 어떻게 할까? 훈계, 어떻게 할까? 1. 훈계의 정의 훈계는 자녀가 훌륭한 인격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부모가 가르치고 수정하고 훈련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자녀에 대한 부모의 사랑과 관심이 담긴 것으로 부모가 적의와 불신감을 가지고 자녀를 징벌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훈계와 징벌의 차이를 정리하.. 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2008.12.23
다양한 자녀 훈계법 III 불친절한 말을 사용하는 아이 1) 친절한 말이란? 친절한 말은 어떤 것일까요? 친절한 말은 우리의 말로 인해서 다른 사람을 격 려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그 사람에 대한 우리의 존경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그 사람에 대한 우 리의 존경을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불친절한 말은 어떤 말일까요? 불친절한 .. 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2008.12.23
다양한 자녀 훈계법 II 다양한 훈계의 방법들Ⅱ 남의 물건을 가져오는 아이 1) 훔친다는 것은? 훔친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훔친다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속한 것을 허락 없이 가져오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만족감이란 무엇일까요? 만족감이란 내가 이미 가지고 있는 것에 흡족해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녀에게 자기.. 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2008.12.23
다양한 자녀 훈계법 1. 불순종하는 아이 1)순종이란? 순종이란 하라고 한 것을 하기로 선택해서 하는 것, 즉시로 불평이나 불만 없이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녀들에게 가장 먼저 가르쳐야 할 일은 순종하는 것 을 가르치는 일입니다. 하나님 말씀에 절대적 가치를 인정하고 순종할 수 있는 아이가 부모님의 말씀 에도 순종.. 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2008.12.23
영ㆍ유아기 놀이교육의 이론과 실제 1. 놀이의 개념 play in life for young children ; 놀이는 곧 유아들의 생활이라고 로저스와 소여(1988)는 말하였다. 성인이 삶의 의미를 일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확장하며 성공기로 실감을 느끼고 더 나은 삶을 위해 노력하듯이 유아는 놀이를 통해 잠재된 능력을 표출하고 확장해 가면서 자아를 발견.. 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2008.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