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무엇을 쓸 것인가, 어떤 목소리를 낼 것인가 정해진 상태에서 좋은 글과 나쁜 글의 차이는 종이 한장 차이입니다. 즉 형식의 차이가 결국은 글의 완성도를 결정짓게 된다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이때 몇가지만 알아두고 조심하면 누구나 좋은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명심해야할 몇가지 팁을 알려드립니다.
◇글의 머릿부분에 긴장감을 줘라=이는 단순히 글을 쓸때 뿐 아니라 편지나 e메일을 쓸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첫 문장이 팽팽하고 활기넘칠 때 이 글을 끝까지 읽고 싶은 느낌이 드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늘어지는 첫 문장은 아예 다음 글을 보고 싶지도 않게 만듭니다. 그렇다고 기본적이고 평범한 문장이 긴장감이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평범한 말이라 하더라도 독자들을 끌어당길 수 있는 간단명료하면서도 명확한 어조가 글의 첫인상을 좌우합니다.
◇너무 많은 걱정은 접어라=이글을 쓰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이런 표현은 독자들에게 어떤 느낌을 줄까 등등, 쓰면서 너무 많은 걱정을 하게 되면 이미 이는 좋은 글이 될 수 없습니다. 글을 쓸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글은 주관적이라는 사실입니다. 물론 상식선에 어긋나는 주장을 논설문에 펼쳐놓는다면 심각한 문제가 되겠지만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풀어나가는데 있어서 쓸 표현과 예화는 얼마든지 자신의 생각대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야 합니다.
◇인터넷 정보를 적절히 활용하라=인터넷은 정보의 바다입니다. 따라서 쓰고자 하는 주제의 다양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서 얻을 수 있습니다. 많은 정보를 손에 갖고 있다면 일단 이는 전쟁터에서 많은 화살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단 인터넷 정보를 이용할 때는 정확한 객관을 토대로 이뤄졌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일 확인작업없이 무조건 인용할때는 오히려 글 전체의 신뢰도를 잃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쉼표 사용은 적절히=많은 학생들이 글을 쓸 때 혼란스러워 하는 것이 바로 이 쉼표입니다. 언제, 어느때, 어떤 단어뒤에 이 쉼표를 써야할지 혼돈을 갖습니다. 어떤학생들은 수시로 불필요하게 이를 사용하고, 어떤 학생들은 꼭 필요한데도 이를 간과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일단 쉼표의 사용유무를 가장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주어와 동사를 갖춘 완벽한 두 문장을 한문장으로 합쳐 표현할때는 반드시 쉼표를 써줘야 합니다. 그러나 두 문장인듯 하지만 주어가 하나이면 쉼표가 필요 없습니다.
◇문법과 철자 체크는 철저히=하나마나한 이야기같지만 이부분에서 많은 학생들이 점수를 잃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을 쓰는데만 주력하다보니 마지막으로 자신의 글을 검토하지 않아 철자와 문법이 엉망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글은 아무리 내용이 좋아도 무성의하게 보이기 때문에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미국에서의 교육 > 영어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체적인 글쓰기 (0) | 2008.12.23 |
---|---|
좋은 글을 쓰기위한 스타일법 2 (0) | 2008.12.23 |
중학생들과 고교생들을 위한 글쓰기 지도방법 (0) | 2008.12.23 |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지도방법 2 (0) | 2008.12.23 |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지도방법 (0) | 2008.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