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시대를 살면서 가장 마음 아픈 사실이 사랑하며 살아야 하는 사람들끼리도 마음을 닫고 관계 맺기에 실패하며 살아간다는 사실입니다. 어떻게 하면 서로의 마음을 나누며 친밀한 관계 속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을 까요? 자녀의 마음을 열게 하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그 사람의 말과 행동을 경청해 주는 것입니다. 좋은 나무 성품학교에서는 경청의 정의를 “경청이란 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주의 깊게 잘 들어 그 사람이 얼마나 소중한지 인정해 주는 것”이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좋은 경청은 상대방의 말로 표현하는 것 이상의 그 사람의 감정, 행동까지도 잘 관찰하여 듣는 것입니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경청 법을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은 존중 감을 느끼게 되고 자신을 귀하게 대접하는 그 사람에게 마음을 열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경청 법은 자녀의 마음, 즉 감정을 열게 하는 스킬이 됩니다. 좋은 관계를 맺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경청하는 스킬을 써야 합니다. 경청하는 것이 관계를 발전시키는 기본적인 성품이지요.
경청한다는 것은 상대방에게 경청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언어적 반응, 비언어적 반응이 있습니다. 언어적 반응은 자녀의 말에 명료화시키기, 바꾸어 말하기, 반영하기, 요약하기 등 부모가 언어로 반응을 보여 줌으로써 자녀의 말에 경청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스킬입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태도로 보여주는 모습을 하는 것인데요, 자녀의 말에 마음을 열고 집중하여 듣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세, 동의를 나타내 주는 적절한 고개 끄떡임, 눈 마주치기, 미소 띠며 바라봐 주기 등의 반응을 보여주는 방법들입니다. 오늘, 한번 사랑하는 사람들의 눈을 쳐다보면서 마음을 열게 하는 스킬들을 사용해 보세요. 가정 안에 퍼지는 따사로운 행복의 느낌이 온 세상에 퍼지게 될 것입니다.
경청하고 있음을 확인 시켜주는 반응
* 언어적 반응
- 명료화하기(Clarification): “그러니까 ~라는 뜻인가요?”
예) “그러니까 네 말은 이제부터 다이어트를 하겠다고 하는 뜻이구나?”
“그러니까, 너는 지금 그 일을 하고 싶지 않다는 거지?”
- 바꾸어 말하기(Paraphrasing): 상대방이 한 말을 다르게 표현하기
예) 머리 염색을 하겠다고 말하고 있는 자녀에게
“그러니까 너는 네 머리 스타일을 좀 다르게 하고 싶다는 거구나.”
- 반영하기(Reflection): 상대방의 말 가운데 감정과 관련된 부분을 바꾸어 말하기
예) “저런, 네 짝꿍이 말을 시켜서 대답한 것뿐인데
담임선생님이 너만 야단치셔서 많이 억울했겠구나!”
- 요약하기(Summarizing): 상대방의 말을 압축하여 핵심만 두세 문장으로 말하기
예) “그러니까 지금까지 네가 한 말들을 요약해 보면,
네가 더 이상 그 과외 선생님과 공부하고 싶지 않다는 거구나, 그렇지?”
* 비언어적 반응
- 개방적이며 집중하는 자세
- 동의를 전하는 적절한 고개 끄덕임
- 눈 맞추기(Eye Contact)
- 미소를 띠며 바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