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의 교육/자녀교육

아이들의 창의성을 키우는 실제적인 방법

구술같이 맑은 가을하늘 2008. 12. 23. 04:30

창의성에 대해 알아보며 창의성으로 빛나는 자녀들로 키워볼까요? 자녀에게 들려주는 말 한마디, 자녀를 대하는 태도 하나가 사물을 보는 시각을 바꾸어 놓게 됩니다. 아이들이 새로운 생각과 시도를 할 수 있도록 창의력을 키우기 위한 실제적인 방법을 살펴봅시다.
매일 매일 쏟아지는 새로운 정보들의 물결 속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남과 다른 생각과 탐구력을 키워주는 ‘창의성’의 성품이 점점 강조되는 요즘. 범람하는 창의성의 물결 속에서 올바른 창의성의 뜻과 방법을 알아 몸과 마음이 남과 다른 성품의 창의성으로 빛이 나는 자녀들로 키워볼까요?

■ 우리 아이 창의성, 이렇게는 안돼요!
자녀에게 들려주는 말 한마디, 자녀를 대하는 태도 하나가 사물을 보는 시각을 바꾸어 놓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의 생각을 강요하고 지시하는 양육태도는 자녀의 창의성을 저하시키는 행위가 될 수 있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말은 아이들의 새로운 생각과 시도에 대한 의욕을 잃게 할 수 있으니 주의를 기울여 주세요.

“말도 안 되는 소리 하지 마.”
“하라면 할 것이지, 웬 말이 그렇게 많니?”
“여자면 여자답게 놀아야지.”
“하늘은 하늘색으로 칠해야지. 그런 색 하늘은 없어!”
“이것은 규칙이야. 그대로 해야 해.”
“왜 너는 바보 같은 것만 물어보니?"
“도대체 넌 누굴 닮아서 그렇게 엉뚱하니?”
“그런 건 해보나마나 안 돼!”
“네가 그것을 어떻게 한다고 그러니!”
“얘, 그 쓸데없는 짓 좀 그만 해라.”
“어린애는 그런 것은 몰라도 돼.”
“너는 너무 어려서 안 돼.”
“도대체 넌 커서 뭐가 되려고 그러니?”


■ 창의성을 키우는 9가지 방법
창의성이란 모든 생각과 행동을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해 보는 태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창의력을 키우기 위한 실제적인 방법을 살펴봅시다.

1. 좋은 음악을 들려주세요.
좋은 음악은 몸과 마음을 여유롭고 편안하게 만들어 사고의 기회를 넓혀주지요. 특히,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려주면 좋습니다.

2. 생각리스트 작성을 도와주세요.
머릿속의 생각들을 종이에 적어보는 생각리스트 활동은 많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를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내 생각 중 어떤 것이 가장 좋은 것인지를 보고 결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답니다.

3. 메모를 습관화할 수 있게 해주세요.
어떤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 그것을 재빨리 적을 수 있는 작은 수첩과 펜을 가지고 다니며 생각을 메모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해주세요. 메모를 보며 모르고 지나갔거나 금방 까먹어 버리는 중요한 아이디어를 다시 얻을 수 있습니다.

4. 문제를 간단하게 말하는 법을 알려주세요.
자신의 생각을 알기 쉽게 말하는 법을 연습시켜 주세요. 추상적이던 머릿속의 생각들이 정리되면서 필요한 아이디어를 알 수 있게 됩니다.
“컴퓨터를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기엔 너무 무거워. 좀 더 작은 사이즈라면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기 편할 텐데…. 그럼 작은 사이즈의 컴퓨터를 만들어보자!”

5. 생각이 막히면 함께 휴식을 취해보세요.
생각이 나지 않으면 함께 산책을 하며 분위기를 환기합니다. 간단한 운동은 뇌세포를 깨우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지요.

6. 생각을 좀 먹는 TV를 멀리하게 해주세요.
JPB 창의성 연구소(JPB Creative Laboratory)에서 수행한 실험에 따르면 TV를 많이 보는 것은 뇌의 사고 능력을 줄이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7. 할 수 있는 한 모든 것을 많이 읽혀 주세요.
책은 뇌를 훈련시키며, 영감을 제공합니다. 새로운 생각을 하게 만들고 다른 아이디어와 쉽게 연계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도록 해줍니다. 자녀들에게 학교에서 정해주는 필독서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주변에 보이는 모든 것을 읽어가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8. 뇌를 훈련시켜 주세요.
건강하고 보기 좋은 몸을 가꾸기 위해 사람들은 웨이트트레이닝, 요가 등의 다양한 훈련을 하지요. 뇌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력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많이 읽고,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며 뇌를 훈련시키는 것이지요.

9.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도와주세요.
많은 사람들은 불편을 느껴도 그냥 지나치거나 ‘내가 말한들 무슨 소용이야?’, ‘저건 어려워서 어떻게 할 수가 없어’라는 마음으로 피하거나 무시해 버리곤 합니다. 하지만 어떤 문제와 상황이든 “나는 할 수 있어!”와 같은 긍정적인 마음가짐과 태도를 갖게 된다면 나를 새롭게 변화시키는 가장 큰 원동력이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