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ㆍ유아기 놀이교육의 이론과 실제
1. 놀이의 개념
play in life for young children ; 놀이는 곧 유아들의 생활이라고 로저스와 소여(1988)는 말하였다. 성인이 삶의 의미를 일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확장하며 성공기로 실감을 느끼고 더 나은 삶을 위해 노력하듯이 유아는 놀이를 통해 잠재된 능력을 표출하고 확장해 가면서 자아를 발견하고 실현하고자 한다.
2. 놀이의 특성
(1) 내적 동기화
놀이는 능동적, 자발적이며 재미있고 특정 목표를 두지 않으며 스스로 시작하고 진지하고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이다.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니고 유아 내부에서 놀이에 대한 동기가 생겨 자발적으로 놀이를 하는 순수한 욕구를 말한다.
(2) 결과보다 과정 중시
유아들이 놀이를 할 때, 활동의 목적이나 결과 보다는 활동 자체에 중점을 두는 것을 말한다.
(3) 적극적 참여
놀이에 방관적이거나 산만함을 보이지 않고 열의를 다하여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유아들은 호기심이 생기고 하고 싶어하는 놀이에는 적극성을 띤다. 따라서 교사나 어른들은 유아가 어떤 놀이를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하는지, 놀이 방법이 다양한지, 어떤 놀이를 선택하는 지를 잘 관찰하여 놀이 지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4) 긍정적 정서
놀이를 하다보면 두려운 마음이 생길 수 있다. 처음보는 것, 자신은 못 할 것 같은 놀이를 반복해서 시도해 보면, 두려운 마음이 없어지고 재미있고 즐거운 놀이가 된다.(ex:미끄럼놀이, 공놀이등) 놀이는 유아의 두렵거나 불안하고 슬픈기분도 긍정적 정서로 전환시키는 특성을 갖고 있다.
(5) 유연성
유아가 다각도록 탐색을 하고 융통성있는 사고를 하게 되는 유연성을 갖게 된다. 놀이경험이 많은 유아일수록 어떤 상황에서든 호기심과 흥미를 보이고 융통적이며 자발적인 성향을 보인다.
(6) 인지적 발달
인간은 본래 인지적 욕구가 있는 존재이다.
쉐일레와 브리튼(chaille & Britain, 1991)은 유아는 호기심으로 가득 차 있으며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하고 자신의 생각을 시도해 보면서 세계를 탐구 해 간다고 말하였다.
포만과 쿠쉬너(Forman & Kuschner, 1983)에 의하면 유아가 ‘뭔가 이상한데...’하는 혼동감,‘예상 밖인데’하는 놀라움, ‘내가 실수했나?’하는 당혹감, ‘다른 뭔가가 있을 것 같은데’ 하는 의혹등의 느낌이 있을 때 내적 동기를 갖고 능동적으로 놀이에 열중한다고 하였다. (이종의, 1991)
(7) 유능감
유아는 놀이를 통해 환경을 통제하고, 변화를 일으키며, 자신이 한 일에 대한 인과 관계를 인식하면서 자신의 능력을 확인 해 나간다. 갓 프리드(Gott fried,1985)는 유능감에 작용하는 심리적요소로 자기 존중감, 도전, 성공감의 3요소가 충족될 때 유아는 주변환경을 자신있게 통제하는 유능한 사람으로 커 나갈 것이라고 말한다.
3. 놀이의 발달단계
1) 사회적 놀이단계
사회적 놀이 단계는 유아가 다른 유아들과 어느 정도로 어떻게 상호작용을 갖느냐에 따라 놀이를 분류하여 그 발달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1) 비참여행동
유아가 놀이에 참여하지 못하고 순간적인 관심과 흥미에 따라 어떤것을 잠시 바라 볼 뿐 특별한 관심이 없다.
(2) 지켜보기
다른 유아들이 노는 것을 지켜보든지 교사나 어른들이 행동을 지켜본다. 놀이에 참여하지 않으나 관심을 가지고 노는 것을 바라보거나 말을 건넨다.
(3) 혼자놀이
장난감을 가지고 혼자서 논다. 옆에서 다른 유아가 놀고 있어도 상관없이 서로 다른 놀이를 하는 것. 2~3세 유아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이 시기의 유아들은 사회성이 발달하지 않아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하기 때문이며, 놀이 시 대화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4) 병형놀이
다른 친구들과 같은 놀잇감을 가지고 놀지만 자기가 하고 싶은 놀이를 하면서 따로 논다. 주로 3세의 유아들에게서 볼 수 있는 놀이 형태로 주변에서 노는 친구들을 의식하여 함께 노는 것을 좋아하면서도 상대편 유아와 상호작용을 하지 않고 친구 옆에서 혼자 논다.
(5) 연합놀이
4세의 유아들에게 보여지는 놀이 형태로 같이 어울려 놀기는 하지만 완전한 체계적 놀이가 아니라 자기 나름대로 노는 집단놀이 형태이다. 다른 유아들과 함께 어울려 놀면서 놀이내용에 대해 공통의 관심사를 갖고 대화를 나누거나 놀잇감을 별려 주기로 하지만 아직 역할 분담이나 놀이 내용의 조직적인 전개는 이루어 지지 않는 단계이다.
(6) 협동놀이
주로 5세 유아들에게서 볼 수 있는 놀이 형태로 유아들끼리 조직되고 체계화된 놀이를 하는 형태이다. 놀이 리더가 있으며 놀이자들끼리 공동의 관심사를 갖고 역할을 분담하며 공동의 관심사를 갖고 역할을 분담하여 조직적으로 놀이가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2) 인지적 놀이 단계
피아제의 인지 이론에 의하면, 놀이는 그 자체로서 인지 발달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즉 유아의 인지가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조작기 및 형식적 조작기로 질적인 변화를 계속하면서 유아의 놀이도 감각적이고 기능적인 연습의 수준에서 전조작기 특유의 상징적인 놀이 시기를 거쳐 점차 규칙이 포함되는 높은 수준의 놀이로 변화된다고 하였다(이은해, 지혜련, 이숙재 편역,1993).
(1) 기능놀이
유아의 최초놀이로서 감각 운동기에 주로 나타나며 단순하고 반복적인 근육운동으로 인지적 능력이 적게 요구된다. 2세 전후의 유아들은 사물을 떨어 뜨린 후 그것을 주워주면 다시 떨어뜨리는 행동을 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행동이 그들에게는 놀이인 것이다.
즉 기능놀이는 감각운동발달시기에 있는 유아가 신체적 움직임에 수반되어 오는 기능적인 즐거움을 위해 반복적으로 되풀이 하는 놀이 행동이다.
(2) 구성놀이
구성놀이는 기능 활동으로부터 시작되는 창조적 활동이다. 2세가 된 유아는 다양한 놀잇감을 이용하여 무엇인가를 만들어 보는 놀이를 시작한다.
(3) 상징놀이
상징놀이는 유아의 지적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발달하는데 상징놀이는 유아의 인지, 사회, 정서, 언어발달을 고무시키는 가상놀이(make-belive play, pretend play)역할놀이(role play) 극 놀이(dreamatic play) 환상놀이(fantasy play)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어지며 공통점은 가작화요소(as-if elements)가 포함된다는 것이다.
상징놀이는 첫 돌 무렵부터 시작하여 2세가 넘어가면서 상징놀이를 통해 다른 역할을 가장하고 상상적으로 사물을 다른 사물로 대치하기도 한다. 즉 내적인 사고와 생각을 가상형태를 통하여 표현하는 놀이형태를 말하며 보이지 않는 사물이나 사건을 대신하여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며 놀이 하는 것이다.
(4) 사회극 놀이
사회극놀이와 상징놀이는 가작화요소를 포함 하는 것이 공통점이지만 다른 점은 두명 이상의 유아가 같은 주제를 가지고 언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놀이로 규정한다.
사회적 가상놀이(social pretend play), 사회적 역할놀이(social dramatic play)라고도 한다.
(5) 규칙있는 게임
유아의 인지 발달이 전조작기에서 구체적 조작기로 도약하면서 놀이에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전 조작기의 유아가 블록을 이용하여 집이나 로봇을 만드는 구성놀이나, 블록으로 만든 로봇으로 사회극 놀이를 주로 한다면 구체적 조작기의 유아들은 그들의 놀이에 규칙을 만들어 규칙있는 게임의 형태로 놀이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규칙있는 게임에서 유아들은 사전에 서로 협의하고 협의된 규칙을 받아들이고 이를 놀이에 적용시킨다. 이러한 놀이를 통해서 유아는 정해진 규칙내에서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용하고 집단에 필요한 사회적 기술도 배우게 된다. 따라서 가장 수준이 높은 놀이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Rogers,C.S.,&Sawyers,j.k.(1998). Play in the lives of children. NAEYC:
Washington,D.C.
● Forman, G., & kuschner, D.(1983).The child's construction of knowledge:
Piaget for teaching children. Washington,D.C.: NAEYC
● Gottfried,A.E.(1985). Intrinsic motivation for play. In C.C Brown & A.W
● Chaille,C.& Britain,L.P.(1991)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A constructivist appro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N.Y.:Harper-Collins.
이은해,지해련,이숙재 편역(1993) 놀이이론. 서울:창지사